건축도장기능사 시험일정을 확인해보고 실기시험에 필요한 준비물과

실기시험 정보를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더불어 정기시험과 상시시험이 중복 응시하지 않도록 원서접수 날짜를 체크하고,

건축도장기능사의 정확한 출제기준을 미리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건축도장기능사란?

건축도장기능사는 도장공 또는 페인트공으로 불리우는데요

이 자격증은 건물의 내외부 표면, 장식물에 페인트 및 바니시, 레커, 에마멜 등의

재료를 사용해 건축물 및 선박에 도장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전문 기술 자격증입니다.

원서접수하기

시험일정

건축도장기능 시험은 매년 정기시험과 상시시험으로 나누어 실시되고 있는데요

구분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정기 기능사 1회 2024.02.05 ~ 2024.02.08 2024.03.16 ~ 2024.04.07 2024.04.09
정기 기능사 2회 2024.04.23 ~ 2024.04.26 2024.06.01 ~ 2024.06.16 2024.06.26
정기 기능사 3회 2024.07.16 ~ 2024.07.19 2024.08.17 ~ 2024.09.03 2024.09.11
정기 기능사 4회 2024.09.30 ~ 2024.10.04 2024.11.09 ~ 2024.11.26 2024.12.04

정기시험은 연 4회 전국에서 시행되며, 정기시험은 가장 많은 응시자들의

응시하고 있습니다. 올해는 1번의 정기시험이 남아있네요

원서접수는 첫날 오전 10시에 시작되며, 원하는 시간과 장소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원서접수 첫날 오전 10시에 바로 신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구분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상시 시험 106회 2024.09.27 2024.10.28 ~ 2024.11.08 2024.11.14
상시 시험 107회 2024.11.15 2024.11.25 ~ 2024.11.29 2024.12.05

상시시험은 2024년 기준 총 7번의 일정이며, 현재 2개의 시험이 남아있습니다.

경기도 양주, 경기도 안성, 부산광역시 등 3군데 에서만 시험을 치르게 되며,

정기시험에 비해 시험장소와 인원 제한으로 인해서,

시험일정이 맞다면 정기시험일정에 맞춰 준비하는것을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정기시험과 상시시험 동일 종목에 대해서는 중복 응시가 불가능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시험정보

건축도장기능사는 필기시험 없이 실기시험만으로 평가합니다.

시험 시간

  • 6시간

출제 경향

건축도장기능사의 실기 시험과목은 건축도장 작업으로,

6시간 동안 여러 과제를 완료해야 하며, 시간 배분을 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바탕면에 바인더 서페이서를 균일하게 도포하는 작업
  • 수성 페인트, 유성페이트를 구분하여 조색 작업 (합판용 / 각목용 / 문자용)
  • 페인트 작업 (합판 / 각목 / 문자, 수성 또는 유성 페인트 작업)
  • 라줄 그라데이션, 테이핑 작업 등 도장 기술

시험은 정확한 작업 순서와 기술 적용을 중요시하고 있습니다.

6시간이라는 긴 시간동안 집중력을 유지하면서 여러과제를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배분 및 체력관리가 중요한 시험입니다.

합격 기준

  • 100점 만점 기준 60점 이상시 합격

응시 자격

  • 제한 없음 (학력 / 나이 / 경력 / 국적 무관)

실기시험 응시료

  • 75,500원
수험자 지참준비물 안내

실기시험 준비물

건축도장기능사 실기시험 지참준비물은 큐넷 홈페이지에서 공지하고 있습니다.

정확한 시험 준비물을 꼼꼼하게 체크하여 준비해야 합니다.

특히, 신분증은 반드시 잊지 말고 챙기시기 바랍니다.

분류 준비물
도장 도구 - 붓(다양한 크기)
- 롤러
- 브러시
페인트 및 재료 - 수성 페인트
- 유성 페인트
- 바이더 서페이서
- 희석제
측정 및 보조 도구 자 (30cm, 1m 등)
- 테이프
- 집게
- 연필, 지우게
보호 장비 - 작업복
- 장갑
- 마스크
청소 도구 - 걸레
- 물통
기타 - 시계
- 물, 간식
- 신분증


실기시험 출제기준 안내

실기시험 출제기준

실기 과목인 건축도장작업과 관련하여 세부 항목과 세세항목을 상세하게 정리하여

출제기준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해당 내용을 미리 확인하여

정확힌 출제기준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